조위승기탕(調胃承氣湯)
열이 심하고 대변을 보지 못하는 데에 사용하는 처방. # 내용
중국 동한(東漢) 때의 『상한론(傷寒論)』에 처음으로 기록되고, 우리나라에서는 『동의보감』과 『방약합편(方藥合編)』에 수록되어 있다. 처방의 구성은 대황(大黃) 15.00g, 망초(芒硝) 7.50g, 감초(甘草) 3.75g으로 물에 달여 복용한다.
임상응용으로는 상한(傷寒)의 양명증(陽明症)을 치료하는 처방으로 상한양명증(傷寒陽明症)이라는 육경병증(六經病症)의 하나로서 신체에 열이 있으며, 차가운 것을 싫어하지 않고 열을 싫어하며, 땀이 나고, 속이 답답하고 입이 ...